20세기 초현실주의 거장 더 페이즈만의 천재 20세기 초현실주의 거장 더 페이즈만의 천재
이미지 배신 1929년 이미지 배신 1929년
위 파이프의 그림 아래에는 이것은 파이프가 아니다라고 적혀 있다. 그의 미술을 이해하는 열쇠가 되는 대표 작품이다. 위 파이프의 그림 아래에는 이것은 파이프가 아니다라고 적혀 있다. 그의 미술을 이해하는 열쇠가 되는 대표 작품이다.
르네 프랑수아 길랭 마그리트(1898년 11월 21일-1967년 8월 15일) 마그리트의 생애 르네 프랑수아 길랭 마그리트(1898년 11월 21일-1967년 8월 15일) 마그리트의 생애
르네 마그리트 1940년 르네 마그리트 1940년
르네·마그리트는 1898년 벨기에에서 태어났다.양복 재봉사의 아버지(레오 폴·마그리트)와 모자를 팔어머니(애드인)밑에서 잘 자랐다.그러나 14세 때 만성 정신병을 앓던 어머니가 자살을 하고 큰 상처를 입었다.아버지는 그런 아들에게 더 많은 사랑을 쏟고 그의 재능을 인정하고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1916년 브뤼셀에서 미술 공부를 시작하고 1920년 중반까지 미래주의와 입체주의 성향의 작품을 그렸다.그러나 그 뒤 죠르죠·데·키리코(Giorgio de Chirico)의 영향을 받아 초현실주의적인 작품을 제작하기 시작했다.그는 초현실주의적이지만 자신만의 개성이 돋보이는 작품을 제작했다.주로 우리 주변에 있는 대상을 매우 생생하게 묘사하면서 그것과는 전혀 다른 요소를 작품 속에 배치하는 방식인 데페이즈망(dépaysement)기법을 사용했다.1950년대에는 그것까지 하던 작품과는 전혀 다른 작품을 제작하기도 하지만 인상주의 시기의 르누아르의 영향을 받은 작품과 바 슈(vache)시기의 야수파의 영향을 받은 작품이 제작됐다.그의 작품은 주로 신비로운 분위기와 고정 관념을 깨는 소재와 구조, 발상의 전환 등의 특징을 보이며 이러한 특징은 우리가 생각하는 모든 사실을 새로운 시선으로 바라보도록 한다.마그리트의 작품은 현대 미술에서의 팝아트와 그래픽 디자인에 큰 영향을 주는 대중 매체의 많은 영역에서 영감의 원천이다.위키 피디아 르네·마그리트는 1898년 벨기에에서 태어났다.양복 재봉사의 아버지(레오 폴·마그리트)와 모자를 팔어머니(애드인)밑에서 잘 자랐다.그러나 14세 때 만성 정신병을 앓던 어머니가 자살을 하고 큰 상처를 입었다.아버지는 그런 아들에게 더 많은 사랑을 쏟고 그의 재능을 인정하고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1916년 브뤼셀에서 미술 공부를 시작하고 1920년 중반까지 미래주의와 입체주의 성향의 작품을 그렸다.그러나 그 뒤 죠르죠·데·키리코(Giorgio de Chirico)의 영향을 받아 초현실주의적인 작품을 제작하기 시작했다.그는 초현실주의적이지만 자신만의 개성이 돋보이는 작품을 제작했다.주로 우리 주변에 있는 대상을 매우 생생하게 묘사하면서 그것과는 전혀 다른 요소를 작품 속에 배치하는 방식인 데페이즈망(dépaysement)기법을 사용했다.1950년대에는 그것까지 하던 작품과는 전혀 다른 작품을 제작하기도 하지만 인상주의 시기의 르누아르의 영향을 받은 작품과 바 슈(vache)시기의 야수파의 영향을 받은 작품이 제작됐다.그의 작품은 주로 신비로운 분위기와 고정 관념을 깨는 소재와 구조, 발상의 전환 등의 특징을 보이며 이러한 특징은 우리가 생각하는 모든 사실을 새로운 시선으로 바라보도록 한다.마그리트의 작품은 현대 미술에서의 팝아트와 그래픽 디자인에 큰 영향을 주는 대중 매체의 많은 영역에서 영감의 원천이다.백과
초현실주의라는 명칭은 현실 자체보다 더 현실적인 무언가를 창조하려는 젊은 미술가들의 열망을 표명하기 위해 만들어진 말이다. 많은 초현실주의자들은 깨어난 사고가 마비되면 우리 내부에 숨어 있는 유아성과 야만성이 우리를 지배하게 된다는 사실을 밝힌 지그문트 플로이드의 저작에 큰 감명을 받았다. 예술은 완전히 깨어난 이성에 의해서는 결코 생산될 수 없다는 초현실주의자들의 주장은 이런 프로이트의 학설에 근거하고 있다. 곰브리치 서양 미술사에서 초현실주의라는 명칭은 현실 자체보다 더 현실적인 무언가를 창조하려는 젊은 미술가들의 열망을 표명하기 위해 만들어진 말이다. 많은 초현실주의자들은 깨어난 사고가 마비되면 우리 내부에 숨어 있는 유아성과 야만성이 우리를 지배하게 된다는 사실을 밝힌 지그문트 플로이드의 저작에 큰 감명을 받았다. 예술은 완전히 깨어난 이성에 의해서는 결코 생산될 수 없다는 초현실주의자들의 주장은 이런 프로이트의 학설에 근거하고 있다. 곰브리치 서양미술사 중에서
초현실주의 러브 스토리 초현실주의 러브 스토리
마그리트와 로젯 부인 마그리트와 로젯 부인
두 사람은 10대 때 처음 만났지만 제1차 세계대전으로 인해 6년간 떠나야 했다. 어린 시절 첫사랑이었던 조르제 베르제(Georgette Berger), 그녀를 7년 만에 우연히 다시 만나 결혼했다. 마그리트가 유명해지기 전에는 조르제토가 미술용품점에서 일하며 거의 유일한 생계를 책임졌다. 르네가 자주 물감을 구입하던 곳이기도 하다. 마그리트의 뮤즈이자 피사체, 후원자이자 조력자였던 조르제토는 마그리트의 작품에 직접적 또는 비유적으로 자주 등장한다. 르네는 그녀와 평생을 함께했다. 맞춤 양복 마니아인 화가 두 사람은 10대 때 처음 만났지만 1차 세계대전으로 인해 6년간 떠나야 했다. 어린 시절 첫사랑이었던 조르제 베르제(Georgette Berger), 그녀를 7년 만에 우연히 다시 만나 결혼했다. 마그리트가 유명해지기 전에는 조르제토가 미술용품점에서 일하며 거의 유일한 생계를 책임졌다. 르네가 자주 물감을 구입하던 곳이기도 하다. 마그리트의 뮤즈이자 피사체, 후원자이자 조력자였던 조르제토는 마그리트의 작품에 직접적 또는 비유적으로 자주 등장한다. 르네는 그녀와 평생을 함께했다. 맞춤 정장 매니아 화가
Lefils del’homme(사람의 아들), 1964년 Lefils del’homme(사람의 아들), 1964년
마그리트의 작품에 자주 등장하는 검은 모자를 쓴 양복을 입은 신사는 대체로 마그리트의 자화상으로 해석된다. 이는 아버지가 양복 제작자였던 것과 무관하지 않다. 마그리트의 어머니가 결혼 전 모자를 팔던 사람이었다는 사실도 마그리트의 그림에 등장하는 모자와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마그리트의 작품에 자주 등장하는 검은 모자를 쓴 양복을 입은 신사는 대체로 마그리트의 자화상으로 해석된다. 이는 아버지가 양복 제작자였던 것과 무관하지 않다. 마그리트의 어머니가 결혼 전 모자를 팔던 사람이었다는 사실도 마그리트의 그림에 등장하는 모자와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데칼코마니 1966년 데칼코마니 1966년
위 작품들은 제목과 달리 일반적인 데칼코마니 양식과는 차이가 있다. 왼쪽은 양복점 신사의 모습을 표현했지만 오른쪽은 신사의 실루엣만 표현돼 신사가 바라보는 배경을 감상자에게 전달하는 듯하다. 우리가 늘 보는 것 속에 담긴 진실을 보고 싶다. 마그리트 위의 작품들은 제목과 달리 일반적인 데칼코마니 양식과는 차이가 있다. 왼쪽은 양복점 신사의 모습을 표현했지만 오른쪽은 신사의 실루엣만 표현돼 신사가 바라보는 배경을 감상자에게 전달하는 듯하다. 우리가 늘 보는 것 속에 담긴 진실을 보고 싶다. 마그리트
철학적 그림을 그린 화가 철학적 그림을 그린 화가
헤겔의 휴일, 1958년 헤겔의 휴일, 1958년
피사에서의 밤, 2002년 피사에서의 밤, 2002년
나뭇잎 1967년 나뭇잎 1967년
The red model, 1935년 The red model, 1935년
르네 마그리트는 대표적인 초현실주의 화가지만 살바도르 달리, 호안 미로 등과 함께 꿈과 무의식의 세계를 주로 그리는 다른 초현실주의 화가들과 달리 자신만의 개성이 돋보이는 작품을 많이 남겼다. 친근하고 일상적인 사물을 예상치 못한 공간에 진열하거나 크기를 왜곡시켜 신비로운 환상의 세계를 만들어냈다. 마그리트의 이런 특수한 그림 양식을 더 페이주맨이라고 한다. 이를 두고 몇몇 미술사 논문에서는 마그리트식 초현실주의라고 칭하기도 한다. 그만큼 현대미술사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큰 거장이다. 좀 더 페이쥬만 기법 ‘위치를 바꿔 달라’는 의미의 좀 더 페이쥬만은 초현실주의에 의해 발전된 기법이다. 현실적 사물을 대상으로 맥락과 무관한 이질적인 환경으로 옮겨 본래의 용도, 성격을 지우고 낯선 장소에 조합함으로써 독특한 분위기를 만들어내는 기법이다. 르네 마그리트는 대표적인 초현실주의 화가지만 살바도르 달리, 호안 미로 등과 함께 꿈과 무의식의 세계를 주로 그리는 다른 초현실주의 화가들과 달리 자신만의 개성이 돋보이는 작품을 많이 남겼다. 친근하고 일상적인 사물을 예상치 못한 공간에 진열하거나 크기를 왜곡시켜 신비로운 환상의 세계를 만들어냈다. 마그리트의 이런 특수한 그림 양식을 더 페이주맨이라고 한다. 이를 두고 몇몇 미술사 논문에서는 마그리트식 초현실주의라고 칭하기도 한다. 그만큼 현대미술사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큰 거장이다. 좀 더 페이쥬만 기법 ‘위치를 바꿔 달라’는 의미의 좀 더 페이쥬만은 초현실주의에 의해 발전된 기법이다. 현실적 사물을 대상으로 맥락과 무관한 이질적인 환경으로 옮겨 본래의 용도, 성격을 지우고 낯선 장소에 조합함으로써 독특한 분위기를 만들어내는 기법이다.
그는 이런 그림을 통해 사람들의 고정관념을 깨고 사물의 본래 의미를 생각하게 했다. 그는 항상 화가 대신 생각하는 사람으로 불리길 원했고, 사람들은 그에게 그림 그리는 철학자라는 별명을 붙여줬다. 패러독스를 이용한 상상을 초월하는 그림을 통해 감상자에게도 철학을 갖게 했다. 그는 이런 그림을 통해 사람들의 고정관념을 깨고 사물의 본래 의미를 생각하게 했다. 그는 항상 화가 대신 생각하는 사람으로 불리길 원했고, 사람들은 그에게 그림 그리는 철학자라는 별명을 붙여줬다. 패러독스를 이용한 상상을 초월하는 그림을 통해 감상자에게도 철학을 갖게 했다.
Les Amants(연인들), 1928년 Les Amants(연인들), 1928년
마그리트의 어머니는 1912년 그가 14세였을 때 자살을 한다. 아버지가 늘 방에 가둬둔 어머니는 집에서 도망치다가 강에 투신했는데, 돌아가신 어머니를 강에서 주워왔을 때·마그릿은 현장에 있었다. 엄마를 인양할 때의 얼굴을 가린 드레스가 평생 그를 압박하는 이미지가 된 것일까. 마그리트는 그 사실을 부정했는데, 그가 잘 그린 흰 천으로 얼굴을 가린 인물들은 어머니를 강에서 주워왔을 때의 모습 그대로라고 한다. 마그리트의 어머니는 1912년 그가 14세였을 때 자살을 한다. 아버지가 늘 방에 가둬둔 어머니는 집에서 도망치다가 강에 투신했는데, 돌아가신 어머니를 강에서 주워왔을 때·마그릿은 현장에 있었다. 엄마를 인양할 때의 얼굴을 가린 드레스가 평생 그를 압박하는 이미지가 된 것일까. 마그리트는 그 사실을 부정했는데, 그가 잘 그린 흰 천으로 얼굴을 가린 인물들은 어머니를 강에서 주워왔을 때의 모습 그대로라고 한다.
The false mirror(거짓 거울), 1928년 The false mirror(거짓 거울), 1928년
쾌락의 원칙, 1937년 쾌락의 원칙, 1937년
la idea, 1966년 la idea, 1966년
The listening room, 1952년 The listening room, 1952년
비틀즈 레코드 로고 사과 비틀즈 레코드 로고 사과
르네 마그리트의 작품은 현대미술과 대중예술에 큰 영향을 미쳤다. 많은 유명 뮤지션들이 자신들의 앨범 표지에 그의 이미지를 사용했는데, 특히 폴 매카트니가 르네 마크리트의 팬으로 유명하다. 그래서인지 영국의 전설적인 밴드 비틀즈는 처음부터 본인들이 설립한 음반사 애플 레코드의 로고로 마그리트의 사과를 사용했다. 또 애플 로고도 마그리트 사과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다. 르네 마그리트의 작품은 현대미술과 대중예술에 큰 영향을 미쳤다. 많은 유명 뮤지션들이 자신들의 앨범 표지에 그의 이미지를 사용했는데, 특히 폴 매카트니가 르네 마크리트의 팬으로 유명하다. 그래서인지 영국의 전설적인 밴드 비틀즈는 처음부터 본인들이 설립한 음반사 애플 레코드의 로고로 마그리트의 사과를 사용했다. 또 애플 로고도 마그리트 사과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다.
Golconde(겨울비), 1953년 Golconde(겨울비), 1953년
피레네의 성, 1961년 피레네의 성, 1961년
마그리트라는 화가를 어떻게 설명해야 할지 그는 딴 세상을 보고 돌아온 사람 같다.공기 없는 세계, 인간과 동물이 일체가 얽히고 설킨 세계 공간과 시간이 다르게 배치되는 세계…… 그렇긴…그는 현실의 소재로 비현실적인 배치를 즐긴다.만약 당신이 이 그림 속의 바위 위, 성에 살고 있다면, 당신은 분명 심도 있는 그 땅이 한없이 견고한 곳이라고 생각할 것이다.그러나 거기에서 벗어나고 더 멀리서 바라보던 그 성은 허공에 뜬.어쩌면 우리가 서는 이곳도 모든 생각과 사상도 시야를 확대하면 허공 위의 성이 아닌가.사고의 전환은 이렇게 신선하다.한 지에은마의 그림을 읽어 주는 여자 가운데 마그리트라는 화가를 어떻게 설명해야 할지 그는 딴 세상을 보고 돌아온 사람 같다.공기 없는 세계, 인간과 동물이 일체가 얽히고 설킨 세계 공간과 시간이 다르게 배치되는 세계…… 그렇긴…그는 현실의 소재로 비현실적인 배치를 즐긴다.만약 당신이 이 그림 속의 바위 위, 성에 살고 있다면, 당신은 분명 심도 있는 그 땅이 한없이 견고한 곳이라고 생각할 것이다.그러나 거기에서 벗어나고 더 멀리서 바라보던 그 성은 허공에 뜬.어쩌면 우리가 서는 이곳도 모든 생각과 사상도 시야를 확대하면 허공 위의 성이 아닌가.사고의 전환은 이렇게 신선하다.한 지에은마의 그림을 읽어 주는 여자 중
영화 매트릭스는 마그리트의 작품 고르콘도(1953)에서 영감을 받았고, 애니메이션 하울의 움직이는 성은 피레네의 성(1959)에서 모티브 3)을 얻었다고 한다. 이처럼 마그리트의 더 페이즈망 기법은 현대의 광고나 예술작품에 적용돼 응용되고 있다. 참고문헌: 네이버 지식백과, 위키백과 다락방 미술관, 그림을 읽는 여성 사진출처: Pin 영화 매트릭스는 마그리트의 작품 고르콘도(1953)에서 영감을 받았고, 애니메이션 하울의 움직이는 성은 피레네의 성(1959)에서 모티브 3)을 얻었다. 이처럼 마그리트의 더 페이즈망 기법은 현대의 광고나 예술작품에 적용돼 응용되고 있다. 참고문헌 : 네이버 지식백과, 위키백과 다락방 미술관, 그림을 읽는 여성 사진출처 : Pin